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/부동산,세금

증여세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? 가산세·조사 리스크까지 정리

by High-J 2025. 3. 29.

증여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어떤 불이익이 있을까요? 가산세, 이자, 세무조사 가능성까지 자세히 설명드릴게요. 2025년 기준 최신 정보로 확인하세요.


서류를 보며 고민하는 남성의 모습 일러스트

📌 증여세, 꼭 신고해야 할까?

부모님이나 배우자, 지인에게 재산을 받았다면
생각보다 많은 경우에 **'증여세 신고 의무'**가 발생합니다.
하지만 신고를 하지 않거나 늦게 하면
예상보다 큰 불이익이 따라올 수 있어요.

이번 글에서는
증여세를 신고하지 않았을 때 생기는 문제점과 대응법
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
 

 

💡 증여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생기는 3가지 불이익

무신고 가산세
정해진 기한 내에 신고하지 않으면
세금의 최대 20%까지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

  • 일반 무신고: 10%
  • 부정한 방법(허위자료, 명의 차용 등): 20%

납부 지연 이자(납부불성실 가산세)
세금 납부도 늦어졌다면,
연 10% 이상 수준의 가산 이자가 붙습니다.

  • 2025년 기준 이율: 약 연 10.95%
  • 매일 이자가 계산되기 때문에 오래 끌수록 불리합니다.

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음
고액 자금이 오갔는데도 증여세 신고가 없었다면
국세청에서 출처 소명을 요구하거나
직접 세무조사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.

 

 

🗓️ 신고기한은 언제까지일까?

  • 증여받은 달의 말일 기준으로 3개월 이내 신고
    (예: 3월 5일에 증여 → 6월 30일까지 신고)
  • 기한 내에만 신고해도 가산세는 피할 수 있으니
    신고 시점은 꼭 체크해두세요.

 

 

📌 자주 하는 착각: 신고 안 해도 괜찮겠지?

"가족끼리 주고받은 건데 뭐 어때…"
"은행 송금이라 기록도 없잖아"
"현금으로 줬으니 아무도 모를 거야"

이런 생각은 위험합니다.

요즘은

  • 계좌이체 내역
  • 자금 출처 조사
  • 부동산 거래 자금 추적
    등을 통해 국세청이 정밀하게 증여 정황을 추적하고 있어요.

 

 

이런 경우에도 신고 대상입니다

  • 부모가 자녀 통장에 매달 용돈을 일정 금액 이상 입금
  • 배우자가 부동산 취득비용 전액 부담
  • 가족 간에 차용증 없이 수천만 원 대여
  • 혼인 전 예물, 예단 등 고가 품목 제공

→ 모두 증여로 간주될 수 있으며, 신고하지 않으면 추징 대상입니다.

 


 

🧾 만약 늦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
👉 자진신고 후 수정신고 또는 기한 후 신고

  • 일부 가산세는 줄일 수 있음
  • 추후 세무조사 대비에도 유리함

👉 세무 전문가 도움 받기

  • 자금 출처 소명 자료 준비
  • 과거 거래 내역 정리

 

 

증여세는 신고 시기를 놓치면
단순한 세금 문제가 아니라
가산세 + 신뢰도 하락 + 조사 위험까지 연결될 수 있어요.

정확히 알고, 제때 신고하는 것이
결국 가장 안전한 절세 방법이랍니다.

 

 

 

 

'증여세'관련 글 리스트 📝